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패스와 기후교통카드 차이. 이득 구간 안내. 더경기패스, 인천I패스 신청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4. 3. 27. 14:29

    K패스, 기후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대체 뭐가 뭔지 헷갈립니다. 다른 거 다 제쳐놓고 가장 중요한 K패스 vs 기후교통카드는 일반권 기준으로 교통비 89,000원 이상이면 기후교통카드, 그 미만이면 K패스가 좋고, 청년권(19세~34세)의 경우 교통비가 92,000원 이상이면 기후교통카드, 미만이면 K패스를 선택하면 됩니다. 

     

     

    대체 뭐가 뭔데?

    1. 기후교통카드 

    기후교통카드는 서울시에서 주최한 서울시민을 위한 대중교통 지원 사업으로 62,000원(따릉이 포함은 65,000원)의 정액 충전비를 사전에 카드에 충전 시 서울 내의 버스, 지하철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방법은 모바일 티머니 앱으로 구매 가능하고 (모바일은 아이폰 미지원) 오프라인으로는 편의점이나 서울 지하철 역사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실물카드는 3,000원의 비용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서울 내의 대중교통만 지원하다 보니 경기로 가는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은 지원 불가합니다. 

     

    2. K패스(구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 예정)

    K패스는 24년 5월부터 시행 예정인 대중교통 지원 사업입니다. 기후교통카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서울 뿐 아니라 전국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인수구 10만 명 이하의 소도시는 사업 참여를 하지 않아 미지원)
    2. 전국의 버스/지하철을 포함하여 신분당선/GTX 등 제한 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기차, 고속버스 등 사전 발권이 필요한 교통수단은 제외)
    3. 불편한 사전 충전이 아닌 사후 자동 환급 시스템이라는 점(카드사에 따라 현금, 마일리지 등으로 환급)
    4. 환급률은 일반 20%, 청년(19~34세) 30%,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차상위계층) 53%
    5. *중요* 여기에 K패스 신청시 대중교통 할인 10% 항목이 있는 카드사 (알뜰카드 기준 농협, 신한, 하나카드 등)를 골라서 신청하면 일반 30%, 청년 40%, 저소득층 63%의 할인이 되는 셈입니다. 대중교통 할인 항목을 보려면 카드 신규 발급 전 카드발급페이지에서 "카드자세히보기"를 눌러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계신분들도 있을 겁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올해 5월 K패스로 전환될 예정이며 전환 신청방법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간단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만약 알뜰교통카드가 없다면 마찬가지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K패스 신규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 구 알뜰교통카드와 신규 K패스의 차이점은

    1. 이동거리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식이 아닌 사용횟수에 따른 환급입니다.
    2. 이용 횟수 15회부터 혜택이 적용되며 60회까지 제한됩니다.
    3. 이용 횟수 카운트는 환승시간 내 환승했다면 1회로 계산되어 예를 들어 환승하여 출퇴근했다면 2회가 카운트되는 식입니다.

     

    그래서 뭐가 좋은데?

    1. 기후교통카드 추천 사용자

    1. 나는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는 35세 이상 일반이며 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이 89,000원 이상이다.
    2. 나는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는 19~34세 청년이며 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이 92,000원 이상이다.

    이유는 1번의 경우 월 이용요금 88,000원 까지는 K패스 30% 할인율이 앞섭니다. 그러나 89,000원 되면 K패스 30% 할인율은 26,700원이 되고 기후카드(89,000 - 62,000 = 27,000원) 차익은 27,000원으로 기후카드가 300원이 더 앞서게 됩니다. 

    2번도 마찬가지로 기후카드 청년권 55,000원이 K패스 청년할인+카드할인 40% 구간보다 앞서는 월 이용요금이 92,000원부터 입니다.

     

     

    2. K패스 추천 사용자

    1. 나는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는 35세 이상 일반이며 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이 88,000원 이하이다.
    2. 나는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는 19~34세 청년이며 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이 91,000원 이하이다.

    그 외에 모든 방면에선 K패스가 좋습니다. 서울-경기를 오가며 출퇴근 해야하는 사용자라면 신분당선, 광역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K패스가 필수입니다. 신분당선을 이용해서 경기에서 서울로 가는 신분당선이나 광역버스의 이용료는 보통 3,000원 정도입니다. 주 5일 출퇴근을 가정한다면 6,000 x 20일 = 12만 원의 30% = 4만 원 환급, 실제 이용료는 8만 원이 되는 셈입니다.

     

     

    그럼 경기패스? 인천패스? 그건 또 뭐야?

    1. The경기패스

    더경기패는 K패스를 기본으로 한 확장팩 개념입니다. K패스를 신청한 이용자가 경기도민이라면 자동으로 더경기패스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더 경기패스의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월 이용횟수 15회~무제한(K패스는 60회 제한)
    2. 청년 나이 19세~39세로 범위가 5살 많아짐(K패스는 19~34세)
    3. 어린이/청소년 6세~18세 연 24만 원 한도 내 지원(K패스는 미지원)
    4. K패스와 마찬가지로 24년 5월 시행 예정입니다.

    2. 인천I패스

    더경기패스와 마찬가지로 K패스를 베이스로 한 인천시를 위한 확장판입니다. K패스를 신청한 인천시민이라면 인천 I패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천패스의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월 이용 횟수 15회~무제한
    2. 청년 나이 19~39세
    3. 65세 노인 30% 환급. 50%까지 점진적 확대 예정 (K패스, 더경기패스 미지원)
    4. 어린이/청소년 지원 예정(25년 하반기)
    5. K패스와 같이 24년 5월 시행 예정입니다.
    6. 광역 I패스 : 인천패스에서 8만 원을 추가하면 인천시 광역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음 (24년 8월 시행 예정)

     

Designed by Tistory.